책이야기

이제부터 행복해지기로 합시다

북치는소녀 2024. 8. 20. 23:57
728x90
반응형
728x90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9097148

 

이제부터 행복해지기로 합시다 - 예스24

극복은 이제 그만, 이제부터는 행복해지기로 합시다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삶을 꿈꾸며 언제까지나 행복하기를 원하는데 어째서 행복하지 못한 것일까? 행복한 삶을 위해서 우리는 평생을 열심

www.yes24.com

 

반응형

 

 

기다린다고 언젠가 행복이 찾아올까요?

 

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삶을 꿈꾸며 언젠까지나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행복이라는 파랑새를 찾아 헤매며 인생을 다 바쳐 애를 씁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행복하지 못한 것일 까요?

우리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단지 고통을 이겨내고 약점을 보완하는 데 일생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사는동안 진정으로 의미 있고 충만한 삶을 사는 겁니다.

바로 지금, 내가 있는 이자리에서 행복해지기로 합시다.

그만 극복하고 이제는 행복하기로 선택을 합시다.

날마다 행복해지는 연습을 해봅시다.

 

 

 

행복이란 영어단어 happiness는 본래 옳은 일이 자신 속에서 일어 난다는 뜻을 지닌

happen에서 나온 말이다.

글자에 담긴 뜻과 같이 행복은 우연히 외부에서 찾아온 행운이 아니라 그 사람에 의한 올바른 노력의 결과이다.

우리는 행복이 마치 우리가 열심히 찾으면 습득할 수 있는 저 밖의 어딘가에 있는 것처럼 행복을 추구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과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복은 덜 소유하고 더 많이 행하는 것이다.

오래지속되는 행복은 우리가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과 삶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은 개인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경험하는 주관적인 심리 상태, 외부 관찰자나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거나 신체적 건강, 직장 혹은 수입과 같은 객관적 요인에 대한 측정치로 평가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내용을 의미한다.

 

주관적 안녕감 = 삶의 만족도 + 긍정적 정서 - 부정적 정서

 

주관적 안녕감이란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평가를 말하면 사람들은 기쁜 일은 많고 부정적 정서를 적게 경험할 때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할 대 주관적 안녕감이 넘치는 것을 느낀다.

행복수준을 전체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적 기분을 최소화 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와 긍정적 기분을 최대화 하는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행복을 가로막는 것들

부정적 편향

부정적 편향이란 긍정적 정서와 경험 및 정보보다는 부정적 정서와 경험 및 정보에 더 주의를 기울이고 비중을 두는 경향을 말한다.

인간에게는 긍정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부정적편향이라는 본성이 있다.

이익보다 손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며 강렬한 감정반응을 보인다.

중립적인 견해보다는 부정적인 견해를 더 쉽게 형성한다.

우리가 좋은 경험과 나쁜 경험을 함께 하면 그 경험의 중요성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중립적인 감정이 아닌 나쁜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이다.

열번 잘하다가도 한번만 잘못하면 쉽게 나쁜 쪽으로 인상이 바뀌는 것이다.

좋은 인상을 계속 유지하려면 나쁜 행동에 유의해야 한다.

 

 

사회적 비교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말이 있다.

상대적 박탈감이란 남과 비교할 때 생기는 부정적인 감정이다.

부러움의 사슬을 끊고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 것에 바로 행복이 있다.

행복을 방해하는 가장 큰 적은 남과 비교하기 이다.

행복은 내가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의 문제라기 보다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에 얼마나 만족하느냐의 문제이다.

남들과 비교하는게 습관이 되면 만족감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쾌락의 쳇바퀴

쾌락의 쳇바퀴는 어제 느꼈던 큰 기쁨이 오늘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심리를 의미한다.

우리가 정말 원하던 것을 얻으면 단기적으로는 행복하지만 곧 그 행복에 적응하여 싫증이 나고 다른 것을 찾게 된다.

잠시 행복감의 증가를 경험하지만 비교적 신속하게 원래의 행복수준으로 되돌아 간다는 것이다.

쾌락의 쳇바퀴가 우리에게 주는 메세지가 있다.

  1. 행복은 원하는 것을 얻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2. 쇼핑과 같은 긍정적 경험으로부터 얻은 긍정적 정서의 증가는 곧 사라지게 된다.
  3. 보다 오랜기간에 걸쳐 행복을 지속시킬 수 있는 다른 방도를 찾을 필요가 있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 긍정적 정서
  • 몰입경험
  • 긍정적 인간관계
  • 삶의 의미
  • 성취
  • 낙관주의
  • 회복탄력성 키우기
  • 성격성 강점
  • 정서지능
  • 동기부여와 목표설정
  • 성장의 마음가짐

 

회복 탄력성

회복탄력성은 다시 튀어오르거나 원래 상태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밑바닥 까지 떨어져도 꿋꿋하게 되튀어 오르는 능력을 일컫는다.

역경으로 인해 밑바닥까지 떨어졌다가도 강한 회복탄력성으로 되튀어 오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원래 있었던 위치보다 더 높은 곳까지 올라간다.

긍정적 방식으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들이면 회복탄력성은 놀랍게 향상된다.

회복탄력성이란 시련이나 고난, 위기나 역경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1. 단호하게 현실을 수용하는 것이다.
  2. 인생은 의미로 가득차 있다는 깊은 믿음을 갖는 것이다.
  3. 상황에 독창적으로 순간 대처하는 비범한 능력이다.

 

정서지능

정서지능을 대중화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 골먼은 정서지능이란 정서를 지각하고, 정서를 조절하며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타인의 정서에 대해 인식하며, 대인관계를 다루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정서지능이란 자신의 내부에 감정이 발생했을 때 어떤 감정이 어느 수준으로 왜 일어났는가를 스스로 인식하는 능력, 자신의 불안이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달래고 조절하는 능력, 어떤 일을 할 때 자신을 적절히 분발시키는 능력, 상대방의 기분이나 분위기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맺고 유지하는 능력등의 의미가 총체적으로 내포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

  1.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소, 경청, 칭찬을 생활화 해야 한다.
  2.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알아차리고 공감할 줄 알아야 한다.
  3.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느끼고 표현해야 한다.
  4. 자신의 감정상태와 상대방의 감정 상태를 섬세하게 감지해야 한다.
  5.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
728x90
반응형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의 힘  (97) 2024.08.27
매일 심리학 공부  (275) 2024.08.21
인생의 태도  (112) 2024.08.19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114) 2024.08.18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연습  (139) 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