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야기

그저 감사했을 뿐인데

북치는소녀 2025. 2. 13. 05:12
728x90
반응형
반응형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87343

 

그저 감사했을 뿐인데 | 김경미 - 교보문고

그저 감사했을 뿐인데 |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게 되는 감사함 수업! 저자는 긍정심리학을 오래 연구한 학자로서 일상을 통한 감사함의 실천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는 이야기를 이 책에 담

product.kyobobook.co.kr

 

오늘 감사할 수 있다면 행복이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언젠가부터 감사를 느끼지 못한채 메말라 가고 있다.

지금 불행을 느낀다면 그것은 감사함을 잃었기 때문이다.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행복

무엇이 문제일까?

긍정을 과잉으로 사용하고 부정을 지나치게 부정하면서 현실감을 상실한 채로 진짜 감정마저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다.

다른 사람과 행복을 비교하느라 진자 행복을 음미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가까 행복속에서 살아가기도 한다.

그러나 행복에는 정답이 없다.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이어서 내가 경험하는 행복은 다른 사람과 다르다.

단지 내가 가지고 있는 행복의 모양새를 발견하고 그 순간을 누릴 뿐이다.

 

언젠가부터 고마운 일들에 대한 감사를 느끼지 못한 채 메말라가고 있다.

가족, 친구, 지인, 자연 환경 그리고 신으로부터 받은 은혜와 친절에 대한 감사의 태도를 가지면 우리의 삶에 기적과 같은 일들을 만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감사를 행복에 이르는 요소로 제안한다.

끝없는 경쟁과 개인주의적인 사회속에서 마음의 평화와 안녕을 유지하는 비결이 감사다.

감사는 사회에서의 실패, 대인관계의 아픔, 말하지 못하는 상처, 영적 침체 속에서 회복과 자유를 경험케 하는 강력한 도구다.

 

감사함에는 힘이 있다.

감사의 눈으로 들여다보면 내가 얼마나 빛나고 괜찮은 사람인지 바라볼 수 있다.

감사의 마음을 열면 내 주변의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감사의 습관을 가지면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다.

뿐만 아니라 착한 마음으로 타인을 돕는 사람이 된다.

감사 연습은 전쟁터 같은 직장에서 재미와 의미를 발견하게 돕는다.

감사가 주는 선물들은 많다.

마음을 열고 감사의 태도를 지니기만 하면 이러한 선물들을 누릴 수 있다.

 

 

 

감사를 실천하면 인생에 유익함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감사를 실천하기가 어렵다.

감사를 방해하는 요소들 때문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삐딱한 자세.

물질 만능주의, 다른 사람과의 비교, 감사를 잊게 만드는 특권의식, 용서되지 않는 과거 등 감사를 방해하는 것들이 많다.

감사한 마음을 갖지 못하면 마음의 평안과 기쁨을 누리기 어렵다.

우리는 감사를 방해하고 있는 걸림돌을 뛰어넘을 결심이 필요하다.

 

감사는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감사도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끔은 어쩌면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어..

라는 생각은 현재의 주어진 축복에 감사하게 한다.

실패와 역경에도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날 힘을 키우는 것은 감사의 통로이다.

내 삶의 의미와 목적이 있음을 인식하고 의미를 창조하는 것.

실수에 자신을 비난하지 않고 위로와 격려를 하는 것은 감사에 쉽게 이르도록 돕는다.

감사는 매우 간단하고 쉽지만 그렇다고 아무에게나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실천하는 자에게 감사가, 행복이 다가간다.

 

감사는 쉽게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감정이 아니다.

TV를 끄고 마음을 다잡으면서 책상앞에 앉아야 공부의 시작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감사도 의식적 노력이 요구된다.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부 관계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나와의 관계에서 기꺼이 마음을 가다듬고 감사를 추구해야 한다.

감사가 나의 삶의 방식이 된다면 행복한 부모, 부부, 직장인 그리고 진정한 내가 될 것이다.

감사의 마음을 함양하고 행동한다면 어느새 행복은 친구가 되어있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  (53) 2025.02.17
생각이 많아 잠이 오지 않을 때 읽는 책  (88) 2025.02.14
단단해지는 연습  (64) 2025.02.12
어른이 처음이라서 그래  (57) 2025.02.11
기적의 수면법  (75)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