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야기

좋아하는 일만 하며 재미있게 살 순 없을까?

북치는소녀 2023. 2. 2. 21:00
728x90
반응형

https://bookclub.yes24.com/BookClub/Detail/40934148

 

좋아하는 일만 하며 재미있게 살 순 없을까? - YES24 북클럽

13년간 3천 명의 평생 직업을 찾아준 직업 카운슬러의 하고 싶은 일만 하며 사는 법!“이 책을 읽는 순간 진짜 하고 싶은 내 일이 보인다!”애쓰지 않아도, 좋아하는 일만 하며 살아갈 수 있다면

bookclub.yes24.com

 

 

언제까지 하기 싫은 일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더이상 원하는 일을 뒤로 미루지 마라

 

일하는 자신의 얼굴이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삶의 방식을 다시 고민해봐야 할지도 모른다.

 

 

하고 싶은 일만 하며 사는법

 

똑같이 힘들다면 적어도 내가 수긍할 수 있는 고생을 하는 것이 낫다.

 

보람 있는 일을 찾고 싶다는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내가 행복해지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한다.

 

주변의 시선이나 세상의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내 마음과 생각을 따라 살려면

나 자신을 제대로 바라보고 곰곰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 회사에 뼈를 묻을 필요가 없어진 시대이니 만큼, 내가 어떤 직종에 종사하며 살아갈지 스스로 생각해야 한다.

 

일을 그만두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다.

중요한건 일을 그만두는 것이 다른 길을 모색하기 위한 계기가 될 수 있는 가다.

 

서두르는 마음으로는 할 수 없는 일이 많다.

누구나 자신에게 맞는 페이스가 따로 있다.

 

어른이 되었는데도 뭘하고 싶은지 모르는 이유는

어릴 때부터 계속 방어적인 태도를 취해왔기 때문이다.

 

삶에서든 일에서든 재미를 느끼려면 때로는 과감하게 궤도에서 벗어나 남들에게 비판을 받더라도 내가 옳다고 믿는 길을 가야 한다.

 

사람은 정말로 괴로운 인생의 벽에 부딪혀 도무지 어쩔 도리가 없을 때 마침내 자기 삶의 방식을 돌아보게 된다.

 

절망하는 능력이란 어찌해볼 도리가 없는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능력이다.

 

 

 

 

 

어릴때 아무리 아꼈던 옷이라 해도 어른이 되면 작아져서 몸에 맞지 않는 것처럼

어린 시절에 활약한 착한 아이라는 행동 패턴은

사회인이 되어서는 갑갑하고 불펴해진다.

 

 보통인 삶이이야말로 행복이라는 생각이 오히려 사람을 괴롭게 한다.

이 생각은 보통이 아닌 인생은 불행이라는 뜻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세상이 다수에 속하기를, 원한다.
그래서 인생에서 큰 걸단을  내릴 때 대부분 자신의 가치관이나 생각보다 세상 일반의 생각이나 다수에 속하는지 여부로 결정하려 한다.


남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개의치 않고 뭔가에 부딪쳐나갈 각오를 할 때 마음의 고민이 사라진다. 

그러려면 인간은 태어나서 죽으면 그것 으로 합격이라는 철학이 필요하다.


 보통이라는 틀 안에서 일을 선택해서는 천직을 찾을 수 없다.

천직은 보통이라는 틀 바깥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내 인생은 이미 합격이므로 더 이상 남과 비교하지 않아도 된다.

내 마음을 느끼고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인생을 살아가라.

 

보통을 신경쓰며 무리하기 보다 내가 수긍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살면 된다.

 

좋아하는 일을 마음속 휴지통에 넣어두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일하는 방식을 어떻게 바꾸고 싶은지 알 수 있게 된다.


실패하더라도, 잘하지 못하더라도, 차마 못 볼 수준이어도 괜찮다.

우선 처음에는 무조건 즐긴다. 즐거웠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서툴더라도 즐기면서 한 걸음 내디디는 것. 모든 것은 거기에서 시작한다.


어느 정도 나이를 먹으면 멋쩍다고 생각해서 진심을 다한 적이 한 번 도 없는 인생이 얼마나 허무하고 쓸쓸한지 깨닫게 된다.


상식에서 벗어나야만 돌파할 수 있는 벽이 있다.

천직을 찾기 위해서 는 조금은 상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가 소중히 해야 할 존재는 인생을 바꾸려고 열심인 나를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다.

 

 행복해진다는 것, 즉 자신이 좀 더 나은 상태가 된다는 것은 지금까지 의자신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 놓인다는 말이다.


천직을 찾기 위해서는 안락지대의 덫에만 얽매여 있지 말고 변하고 싶다는 마음과 제대로 마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나이를 신경 쓰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이 나이가 됐어도 조금 씩 해나갈 수밖에 없어' 라는 마음으로 전진해야만 자신의 인생을 바 꿀수 있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 돈 때문에 고생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스트레스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한번 곰곰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스트레스가 사라지면 소비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성공과 평가에 집착하면 아무리 좋아하는 일이어도 괴로워진다.


남을 향한 비판의 시선은 반드시 자신을 향하게 되어 있다. 남을 비판 하는 걸 멈추면 자신을 비판하는 시선도 점점 누그러진다.

 

제대로 생각해서 답이 나온 다음에 움직이겠다는 사고방식으로는 현 실에서 잘 안 풀리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는 일단 지나치게 생각하기 를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

이것을 심 리학에서는 '스몰 스텝의 원리' 라고 한다. 하고 싶은 일을 시작할 때 는 이 스몰 스텝의 원리가 중요하다.


제대로 시간을 들이고 필요한 밑바닥 과정을 거치기를 회피하면, 내 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 내가 정말로 나아가야 할 길을 잘못 판단 할 가능성이 높다.


하루에 5분이라도 좋으니 자신이 정한 목표를 꾸준히 하는 습관을 들 이고 서서히 거기에 익숙해진다.

이런 작디작은 변화에 마음이 익숙 해지는 것 자체를 목표로 삼는 것이 스몰 스텝을 설정하는 요령이다.


뭔가를 새로 시작할 때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확실히 중요하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해보고 싶지만 불안해' 라는 자신의 약한 소리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천직을 찾아주는 질문

오늘 하루 무엇을 하든 상관없다고 한다면 무슨 일을 하겠습니까?

오늘 밤 신이 나타나서 당신이 어떤 일을 하건 반드시 성공하도록 돕겠다고 약속한다면 어떤 직업을 선택하겠습니까?

당신에게 질투의 불꽃이 가장 불타오를 때는 언제입니까?

방의 불을 끄는 걸 깜박했을 때 어떻게 하나요?

만약 당신의 아이가 학교 시험에서 백지 답안을 냈다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